-
안검하수 증상 [자가진단 체크] 눈꺼풀 쳐져서 졸린 눈일상정보 2023. 10. 4. 17:11반응형
사람의 눈은 그 사람의 인상을 좌우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인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눈이 평소보다 답답해서 왜 그럴까 고민이신 분들 계시죠. 눈꺼풀이 쳐지면서 눈동자의 많은 부분을 가리게 되면 인상이 답답해 보이고 졸려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는 단순히 인상만의 문제는 아닌데요. 오늘은 스스로 체크해 볼 수 있는 안하검수의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눈을 감았다 뜨기 위해서는 많은 근육이 필요하게 되는데요. 눈을 뜨기 위한 눈꺼풀 올림근의 힘이 약해졌을 때 안검하수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주로 노화가 진행되면서 생기는 증상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최근들어서는 젊은 층 사이에서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눈을 뜨기 힘들거나 평소 졸려보인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면 방치하지 마시고 안검하수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그렇다면 내가 안검하수인지 알아보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증상이 의심될 경우 미리 스스로 체크하며 눈 건강관리에 신경쓰는 것도 좋습니다.
1. 간단한 셀프진단 해보세요
스스로 체크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이마를 쓰지 않고 눈을 뜨는 것이 어렵지는 않은지 테스트 해보는 것인데요.
눈 근육이 약해진 사람은 습관적으로 이마 근육을 써서 눈을 크게 뜨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마를 고정한 후 눈을 뜨는 것을 테스트 통해 안검하수가 아닌지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 먼저 양손으로 이마를 짚어 이마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합니다.
- 그리고 눈꺼풀의 근육만을 이용해서 눈을 떴다 감았다 반복해보세요
만약 이때 눈을 뜨는 것이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안검하수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거울을 보고 위의 방법대로 한 후 자신의 검은 눈동자가 30%이상 가려진다면 안검하수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 눈을 떴을 때 80% 이상의 검은 눈동자가 보이게 됩니다.
위의 방법을 통해 안검하수가 의심된다면 병원을 찾아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세요.
2. 좁아진 시야
평소와는 다르게 시야가 좁아졌다고 느껴지며 눈을 크게 떠도 시원하게 보이지 않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요. 눈을 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꺼풀 올림근의 근육이 약해져서 눈을 떠도 눈동자의 일부가 가려져서 답답한 느낌이 들 수 있어요. 노화나 콘택트렌즈의 잦은 사용 쌍커풀 고정액 등으로 피부 탄력과 눈 주변 근육이 약해지면서 눈 주변의 피부가 쳐지는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턱을 치켜드는 습관이 생긴다
평소에 졸려보인다는 말을 많이 듣는 분 중에 사물을 바라볼 때 턱을 들고 보는 습관을 가지신 분들이 계시다면 안하검수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정면을 바라볼 때 눈꺼풀이 내려와서 시야가 많이 가려져 답답하게 되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턱을 들고 보는 습관이 생깁니다. TV나 스마트폰, PC를 볼 때 고개를 들거나 턱을 치켜드는 습관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4. 시력이 떨어진다
눈 주변 근육의 힘이 약해져서 근육 처짐이 심한 경우 시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약시나 두통, 만성피로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이러한 증상을 겪고 계시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서 전문가와 상의해 보셔야 합니다.5. 이마에 주름이 많이 생긴다
눈꺼풀의 힘이 약해진 경우 눈근육 이외에 이마 근육을 써서 눈을 크게 뜨려는 습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이마 주름 외에 눈을 크게 뜨기 위해서 이마 근육을 사용하는 습관으로 이마주름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습관이 있지 않는지 스스로 체크해 보세요.안하검수가 생기면 보통 쌍커풀 수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안검하수는 근육과 힘줄을 당겨서 증상을 개선하는 상안검 수술을 하게 되기 때문에 단순한 미용 목적의 쌍커풀 수술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 수술 방법에는 절개 방식과 비절개 방식으로 나뉘게 되는데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안검하수의 개선 방법과 수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728x90반응형'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리이식 후 관리하는 방법/ 탈모 모발이식하고 생착률 높이려면? (0) 2023.11.29 청년월세 지원금 신청하기] 대학생, 대학원생, 취준생 매월 20만원 지원받아보세요. (0) 2023.10.18 수면 무호흡증 증세/ 증상 원인과 치료 방법 (0) 2023.09.22 배방스포츠센터 이용요금/ 할인 혜택 / 감면대상/ 가격 (0) 2023.09.18 안드로겐성 탈모 / 남성형 여성형 유전 호르몬 탈모의 증상과 예방법, 치료방법 (0) 2023.08.21